구토,설사를 중지시키며 소화기능을증강하는 효능이 있는 곽향(배초향)에 대해 소개합니다.
곽향(배향초)는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독특한 향기로 인해 오랫동안 약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식물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약용 및 향료로 활용됩니다.
곽향 식물특성과 형태
- 학명: Agastache ngosa
- 이명: 곽함,토곽향, 배초항, Agilacts heata
-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 : 방향(芳香)은 좋은 향기를, 화습(化濕)은 습기를 제거하고 조화롭게 한다는 뜻
- 약초사용부위 : 배초향, 광곽향의 전초를 말린 것
- 높이 1m. 향이 강하고 짧고 부드러운 털이 많음
- 잎은 마주하고 꽃은 지주색 7-9월에 윤상화서, 꽃잎은 자색으로 5개로갈라진다.
약초의 성미와 작용
-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며 비장, 위, 폐에 작용합니다.
- 약리효과와 효능 : 소화불량, 설사 등의 중상이 있는 감기에 좋습니다.
- 주요 효능:
화습제비(化濕除痹): 체내 습기를 제거하고 비위를 돕는 작용이 있습니다.
이기화위(理氣和胃): 기운의 순환을 돕고 소화를 촉진합니다.
진정작용: 긴장 완화와 불면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주요 함유 성분과 물질
정유를 약 1.5% 합유하고 주성분은 매틸알콜이 80%이상을 차지하고 아울러 anethole(아네톨), anisaldethde(아니스알데하이드)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 취시기와 사용부위 : 여름, 가을에 꽃이 필 때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서 사용한다.오래 달이면 약성이 약해집니다.
곽향 복용방법
하루6-12g을 달임약, 알약, 가루약 형태로 복용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오래 달이면 약성이 경청하여 날아가므로 오래 달이지 말아야 하며, 위가 허하여 구토하는 사람, 열병으로 열이 있거나 음이 부족하여 열이 있는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임상응용 복용실례
소화기계통의 기능을 향진시켜 소화불량, 설사, 감기에 좋다.
- 소화불량: 곽향을 활용한 전통 한방처방은 소화기계통의 기능을 향진시켜 소화불량, 설사, 감기에 좋습니다. 예를 들어,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은 곽향을 주재료로 한 전통 처방으로, 소화기 및 상기도 감염 증상을 개선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스트레스 완화: 곽향 오일을 아로마테라피로 사용하면 긴장 완화와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항염 효과: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곽향배향초 추출물이 항염 및 항균 작용을 통해 피부 염증을 억제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 감기 및 호흡기 질환: 곽향은 약간의 진정 및 발한 작용이 있어 감기 초기 증상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곽향(배향초)은 전통적인 한약뿐 아니라, 현대 과학에서도 약리적 가능성을 연구하는 대상입니다. 특히, 향을 이용한 스트레스 관리나 화학물질 대체 천연물로의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추출물 및 유효 성분에 대한 분리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더 넓은 약리적 적용이 기대됩니다.

한다음자 한방차 구경하기 스마트스토어 링크
반응형
'한방cafe한다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치료 후 면역력 향상 특효 _ 삼령백출산 _ 처방풀이 _ 만들기 (1) | 2025.03.16 |
---|---|
고혈압과 당뇨병에 이로운 아보카도 (1) | 2024.11.19 |
홍차 만들기 과정소개 : CTC 공법 vs 전통제다법 (2) | 2024.11.17 |
홍차 녹차 오룡차 구별법 _ 한다음자 (4) | 2024.11.16 |
한다음자 킨텍스 메가쇼 2024 시즌2 참여해요! _ 한방제품 (1) | 2024.11.07 |